Mikook Option

옵션의 프리미엄이 내재가치만으로 거래될때?

옵션의 프리미엄이 내재가치만으로 거래될때?

옵션의 프리미엄이 내재가치만으로 거래될때?

지난 여러 강의에서 옵션의 가치(Premium)는 크게 내재가치 (intrinsic value)와 시간가치(Extrinsic value 또는 Time Value) 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옵션트레이딩을 하시다 보면 프리미엄이 내재가치와 완전 거의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옵션의 프리미엄이 시간가치 없이 내재가치에 거래되는 상황을 “Trading at Parity”라고합니다. 시간가치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옵션이다? 옵션초보분들에게는 흥미로운 주제일것 같은데요. 과연 Trading at Parity의 상황은 언제 발생하며 또 왜 그런상황이 발생하는지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간단 복습:

옵션의 가치 (프리미엄) = 내재가치 + 시간가치

기억이 안나시는 분들을 위해서 옵션의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간단히 가장 큰 틀에서 복습해 보겠습니다. 옵션의 가치(프리미엄)은 크게 내재가치와 시간가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내재가치란, 옵션을 이론적으로 지금 당장 행사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말합니다. 
  • 시간가치란, 또 다른말로 외재가치라고 하며 이는 기본적으로 내재가치 외에 앞으로 그 옵션에서 얻어낼수 있는 기대감과 가능성을 반영하는 가치입니다. 시간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중 하나로  “Optionality”가 있습니다.
  • Optionality란, 만기때 권리행사를 할 수 있는 상황에 있을지 없을지의 상황적인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외가격 옵션의 경우에는 지금 당장은 내재가치가 없지만 만기때에는 내재가치를 가지게될 기대감과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즉, OTM이 ITM가 될 수 있는 기대감을 함축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내가격 (In-the-money)이란 현재 옵션의 기초자산(Underlying Asset 또는 Underlying Instrument, 줄여서 UA 또는 UI)과 행사가 (Strike Price)의 관계에 있어서 옵션의 내재가치가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콜옵션의 예를들면, 만약에 행사가가 100인데 기초자산의 가격이 100이상이면 내가격의 상황이 됩니다. 콜옵션에서 기초자산이 행사가보다 높다 함은 콜옵션의 매수자 입장에서 옵션을 행사(Excercise)했을시 당장 발생하는 가치가 있음을 뜻합니다.

예를한번 들어볼까요? 투자자 A가 주식 ABC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행사가 100짜리 옵션을 매수하였고 현재 ABC의 주가가 101이라고 해봅시다. A씨가 만약에 콜옵션 권리를 행사하여 100에 ABC주식 100주를 상대방인 콜옵션 매도자로부터 인수하였다고 합시다. 이론적으로 A씨는 그즉시 옵션시장에서 그 주식을 주당 101불에 매도할 수 있고 이는 계약당 100 = (1 X 주식옵션의 배수는 100) 의 내재가치가 있음을 말합니다. 여기서 더 나아가서 만약에 ABC 주식이 200불이 되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론적으로 만약에 A씨가 콜옵션 권리를 행사해 ABC 주식을 상대방인 콜옵션 매도자로터 100에 인수한 후 시장에서 주당 200에 바로 매도할 경우 당장 10,000 = ( (200-100) X 100 배수)의 가치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옵션의 행사가를 훨씬 벗어나 아주 높은 내재가치가 있는 상태에 있는 옵션을 깊은 내가격(DITM)의 상태라고 합니다.

시간가치가 거의 없는 경우는 언제일까?:

만기에 아주 초근접했을 경우 옵션의 프리미엄은 거의 100% 내재가치에 거래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만기가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옵션의 프리미엄은 시간가치를 잃기 때문입니다. 그 옵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이익에 대한 기대감과 가능성이 만기와 가까워 지면서 결국 만기때 시간가치가 모두 소멸되는 것입니다. 그결과 만기가 되면서 내가격의 옵션의 프리미엄은 내재가치와 같아지고 외가격 옵션의 프리미엄은 내재가치가 없기 때문에 0이 되고 맙니다.

만기에 초근접하더라도 완전 만기가 되기 전까지 등가격 (At-the-Money) 주변의 옵션들은 아직도 어느정도 시간가치를 갖습니다. 왜냐하면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 주변에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만기까지의 그 짧은 순간에 그 옵션의 가치가 크게 변할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옵션이 엄청나게 깊은 내가격 (Deep In-the-money ) 또는 깊은 외가격(Deep Out-of-the-money)의 상황에 있는 상황에 있을경우에는 시간가치가 거의 제로인 상태로  거래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옵션의 시간가치는 “Optionality”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고 했는데 깊은 내가격이나 외가격의 경우 이미 “만기때 권리행사 거의 확실” 또는 “만기때 권리행사 거의 불확실” 이기 때문에 Optionality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현재 콜옵션이 깊은 외가격에 있다면 잠시후 옵션이 만기가 되는 상황에서 내가격의 상황으로 바뀔 가능성을 많이 기대해 볼 수 있을까요?  그럴 확률은 기초자산의 가격이 행사가보다 아래에 있으면 있을수록 더 희박할 것입니다.

내가격의 콜옵션은 더깊은 내가격으로 가면 갈수록 기초자산과 비슷해집니다. 그뜻은 기초자산대신  옵션을 보유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폭발적인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는 룸이 줄어든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때문에 깊은 내가격의 콜옵션은 프리미엄중 시간가치를 그렇게 많이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행사가별로 깊은 내가격, 등가격, 그리고 깊은 내가격 세가지의 상황에서 남은 시간가치를 비교해 봅시다. 

등가격일때는 아직도 시간가치가 남아있는 반면 외가격이나 내가격으로 더 깊어질수록 시간가치가 점점더 0에 더 가깝운 상태에서 옵션의 프리미엄이 거래된다는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중수
LowKey

옵션 스프레드 거래 청산하는법

옵션 스프레드는 두 개 이상의 옵션 계약을 이용하여 매매하는 전략입니다. 스프레드 포지션을 청산하면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의 의무를 완료하고 포지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옵션 스프레드 포지션 청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옵션계좌, 옵션레벨, 옵션전략 경험 순서 질답모음

이번시간에는 옵션 초보자 분들이 궁금해 하셨던 몇가지에 대해서 답변을 드려볼까 합니다. 첫번째로, 옵션 계좌개설시 최소로 요구되는 잔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번째로는, 네이키드 옵션전략을 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레벨 3이상 옵션거래 허가를 받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옵린이 분들께서 가장 궁금하셨던 ..도대체 어떤 옵션 전략들부터 배워야 하는지 그 순서에 대해서도 답변드리겠습니다.

자세히보기 »
초보
LowKey

완벽한 헤징이 가능할까?

헤징은 투자 또는 투자 포트폴리오와 관련된 특정 위험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완벽한” 헤징 전략이란 새로운 위험을 추가하거나 잠재적 수익을 희생하지 않고 모든 원치 않는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나의 옵션 거래 실수 – 풋옵션 매도

나의 옵션 거래 실수 시리즈 그 첫번째입니다.  옵션거래를 하시다 보면 옵션 매도포지션에서 엄한 실수를 범할때가 있습니다. 특히 미국 주식 옵션의 경우 American Style (미국형 옵션)의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옵션 그릭스 (Greeks) 3분만에 이해하기

옵션에서의 그릭스(Greeks)는 여러 외부 변수의 변화에 대한 옵션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수치들의 집합체를 말합니다. 옵션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이론인데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많은 옵션 트레이더들이

자세히보기 »
주식 | ETF
LowKey

3일만에 역대급 $150밀리언 손실

** 제임스 코디어 관련 부분은 위의 영상 22분부터 참고하세요. ** 베스트셀러 “현명한 옵션매도 투자자“의 공동저자이자 잘나가는 헤지펀드 매니져중 한명이었던 제임스 코디어 (James Cordier). 옵션매도에 있어서

자세히보기 »
LowKey

옵션의 만기일 선택시 고려할점

이번시간에는 미국옵션 단톡방에서 궁금해 하셨던 옵션의 만기일 선택시 고려할 점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동안 쉽게 생각해왔던 옵션의 만기일 선택.. 이번글을 계기로 저또한 그동안 깊게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다뤄보고 고민하게 된 고마운 주제입니다.

자세히보기 »
LowKey

리버스 칼라 (Reverse Collar) 전략

이번시간에 다뤄볼 신기한 합성 옵션 전략은 리버스 콜라 (Reverse Collar) 전략입니다. 뭔가 이 옵션 전략의 이름만 봤을때 너무 어려운 전략인것 같죠? 하지만 어려운 용어에 비해 상당히 이해하기 쉬운 전략이니 미옵만 믿고 따라오세요. 실제로 미국 옵션시장에서 관찰된 예제를 이용해 10분안에 확실히 이해시켜드립니다.

자세히보기 »
LowKey

주가가 상승했는데 콜매도가 수익?

지난시간에 이어서 AFRM주식의 콜옵션 매도 실전 예제를 통해 콜매도 거래시 실제 트레이더가 마주할 수 있는 상황들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콜옵션 매도전략의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시면

자세히보기 »
LowKey

401K로 첫해에만 5만불 모으기

401k 연금으로 직장생활 첫해에 5만불을 세이브 할 수 있다면? 이번글은 제가 실제로 경험했고 여러분도 충분히 따라하실 수 있는 아주 가벼운 주제입니다. 미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이라면 401k는

자세히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