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미국 철강 가격 급등,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매제 될까?
미국 내 철강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제조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산 철강에 대한 25% 관세를 예고하면서, 미국 철강업체들은 가격 결정권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토요일(현지시간)부터 모든 멕시코 및 캐나다산 철강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월요일에는 협상이 시작되면서 이를 한 달간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결국 관세가 시행될 경우, 미국 내 철강 가격은 더욱 오를 가능성이 크다.
미국 제조업체들, 원자재 비용 상승에 ‘비상’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리버데일 밀스(Riverdale Mills)**의 CEO **제임스 낫(James Knott)**은 “이미 2주 전부터 미국 내 철강 공급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리버데일 밀스는 미국 동부 해안과 가까운 캐나다에서 약 80%의 철강을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사우스캐롤라이나, 텍사스, 일리노이에서 공급받는 것보다 운송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캐나다산 철강에 관세가 붙으면 비용이 상승해 경쟁력이 약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는 미국산 철강을 쓰고 싶지만, 가격 경쟁력이 없으면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고 낫 CEO는 토로했다. 현재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철강을 생산하고 있다.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 수입 철강의 35%**를 차지하는 주요 공급국이다. 트럼프 정부는 2018년에도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지만, 이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개정을 위해 이를 철회한 바 있다.
이번 관세 조치가 시행되면, 수입 철강 가격 상승에 따라 미국 내 철강업체들도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크다. 제조업체들은 비용 증가가 결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소재 제조업체 **벨빌 인터내셔널(Belleville International)**의 대표 **랄프 하르트(Ralph Hardt)**는 “문제는 관세가 부과되면 모든 업체들이 가격을 올린다는 점이다. 결국 모든 기업이 비용 증가 압박을 받게 된다.”라고 말했다.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자동차, 가전제품, 건설업계가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캔을 사용하는 맥주, 탄산음료 업계에서도 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
미국 철강업계, 관세 정책에 기대… 하지만 장기적 리스크 존재
미국 철강업체들은 이번 관세 조치를 반기고 있다. 미국 최대 철강업체 중 하나인 **누코(Nucor)**의 CEO **리온 토팔리안(Leon Topalian)**은 1월 말 컨퍼런스 콜에서 “가격을 왜곡하는 해외 업체들이 결국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의 2018년 철강 관세 정책 이후, 미국 내 철강업체들은 신규 공장을 짓고 생산량을 늘려왔다. 지난 4년간 미국 내 철강 생산능력은 연간 1,200만 톤 증가했다. 하지만 최근 제조업 경기 부진으로 철강 가격은 수개월 동안 톤당 700달러 이하에서 정체되어 있었다.
미시간주 철강 유통업체 **그랜드 스틸 프로덕츠(Grand Steel Products)**의 CEO **짐 바넷(Jim Barnett)**은 “현재 제조업 경기가 강하지 않지만, 공급량은 충분하다”며 “추가 관세가 수요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북미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강력 대응을 시사했다. 이는 미국 경제 전반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제조업체들이 철강 및 알루미늄 가격 상승을 감당할 수 있을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결론: 철강 관세, 미국 제조업에 득일까 실일까?
트럼프의 철강 관세 정책은 미국 철강업체들에게는 유리한 조치지만, 제조업체들에게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또한 캐나다와 멕시코의 보복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번 정책이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철강업체들의 기대와 달리 단기적인 수혜에 그칠 가능성이 크며, 제조업체들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6)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2760
|
LowKey | 2024.01.11 | 3 | 2760 |
공지사항 |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5533
|
LowKey | 2022.05.31 | 8 | 5533 |
공지사항 |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5323
|
LowKey | 2021.10.19 | 3 | 5323 |
공지사항 |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5817
|
LowKey | 2021.08.09 | 5 | 5817 |
공지사항 |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138
|
LowKey | 2021.07.17 | 5 | 5138 |
830 |
New 트럼프 관세 정책, 스마트폰·노트북 가격 상승 불러올까?
LowKey
|
2025.02.04
|
추천 0
|
조회 18
|
LowKey | 2025.02.04 | 0 | 18 |
829 |
New 미국 철강 가격 급등,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매제 될까?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31
|
LowKey | 2025.02.03 | 0 | 31 |
828 |
New 팔란티어, 4분기 실적 대폭 상회… 주가 시간외 18% 급등 (2)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54
|
LowKey | 2025.02.03 | 0 | 54 |
827 |
New 미국-멕시코 잠시 유예: 트럼프-셰인바움 협상의 의미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28
|
LowKey | 2025.02.03 | 0 | 28 |
826 |
New 옵션 예상 프리미엄 값 구하기.. (2)
UP&다운
|
2025.02.03
|
추천 1
|
조회 33
|
UP&다운 | 2025.02.03 | 1 | 33 |
825 |
백악관, 멕시코·캐나다·중국에 이번주 토요일부터 고율 관세 부과 발표
LowKey
|
2025.01.31
|
추천 0
|
조회 24
|
LowKey | 2025.01.31 | 0 | 24 |
824 |
테슬라 4분기 실적 분석: 저가 모델, FSD, 그리고 Optimus 로봇의 미래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66
|
LowKey | 2025.01.30 | 0 | 66 |
823 |
2024년 4분기 미국 경제 성장: 기대 이하지만 소비는 탄탄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56
|
LowKey | 2025.01.30 | 0 | 56 |
822 |
DeepSeek의 등장, 엔비디아에 오히려 호재일수도?
LowKey
|
2025.01.29
|
추천 1
|
조회 115
|
LowKey | 2025.01.29 | 1 | 115 |
821 |
AMD 주식, 목표주가 하향 조정: 성장 둔화 우려와 경쟁 심화가 원인
LowKey
|
2025.01.28
|
추천 0
|
조회 112
|
LowKey | 2025.01.28 | 0 | 112 |
자유게시판
미국 철강 가격 급등,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매제 될까?
미국 내 철강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제조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산 철강에 대한 25% 관세를 예고하면서, 미국 철강업체들은 가격 결정권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토요일(현지시간)부터 모든 멕시코 및 캐나다산 철강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월요일에는 협상이 시작되면서 이를 한 달간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결국 관세가 시행될 경우, 미국 내 철강 가격은 더욱 오를 가능성이 크다.
미국 제조업체들, 원자재 비용 상승에 ‘비상’
미국 매사추세츠주에 위치한 **리버데일 밀스(Riverdale Mills)**의 CEO **제임스 낫(James Knott)**은 “이미 2주 전부터 미국 내 철강 공급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리버데일 밀스는 미국 동부 해안과 가까운 캐나다에서 약 80%의 철강을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사우스캐롤라이나, 텍사스, 일리노이에서 공급받는 것보다 운송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캐나다산 철강에 관세가 붙으면 비용이 상승해 경쟁력이 약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는 미국산 철강을 쓰고 싶지만, 가격 경쟁력이 없으면 선택의 여지가 없다.”라고 낫 CEO는 토로했다. 현재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철강을 생산하고 있다.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 수입 철강의 35%**를 차지하는 주요 공급국이다. 트럼프 정부는 2018년에도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부과했지만, 이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개정을 위해 이를 철회한 바 있다.
이번 관세 조치가 시행되면, 수입 철강 가격 상승에 따라 미국 내 철강업체들도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크다. 제조업체들은 비용 증가가 결국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소재 제조업체 **벨빌 인터내셔널(Belleville International)**의 대표 **랄프 하르트(Ralph Hardt)**는 “문제는 관세가 부과되면 모든 업체들이 가격을 올린다는 점이다. 결국 모든 기업이 비용 증가 압박을 받게 된다.”라고 말했다.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자동차, 가전제품, 건설업계가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캔을 사용하는 맥주, 탄산음료 업계에서도 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
미국 철강업계, 관세 정책에 기대… 하지만 장기적 리스크 존재
미국 철강업체들은 이번 관세 조치를 반기고 있다. 미국 최대 철강업체 중 하나인 **누코(Nucor)**의 CEO **리온 토팔리안(Leon Topalian)**은 1월 말 컨퍼런스 콜에서 “가격을 왜곡하는 해외 업체들이 결국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의 2018년 철강 관세 정책 이후, 미국 내 철강업체들은 신규 공장을 짓고 생산량을 늘려왔다. 지난 4년간 미국 내 철강 생산능력은 연간 1,200만 톤 증가했다. 하지만 최근 제조업 경기 부진으로 철강 가격은 수개월 동안 톤당 700달러 이하에서 정체되어 있었다.
미시간주 철강 유통업체 **그랜드 스틸 프로덕츠(Grand Steel Products)**의 CEO **짐 바넷(Jim Barnett)**은 “현재 제조업 경기가 강하지 않지만, 공급량은 충분하다”며 “추가 관세가 수요를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북미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강력 대응을 시사했다. 이는 미국 경제 전반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제조업체들이 철강 및 알루미늄 가격 상승을 감당할 수 있을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결론: 철강 관세, 미국 제조업에 득일까 실일까?
트럼프의 철강 관세 정책은 미국 철강업체들에게는 유리한 조치지만, 제조업체들에게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또한 캐나다와 멕시코의 보복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이번 정책이 미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철강업체들의 기대와 달리 단기적인 수혜에 그칠 가능성이 크며, 제조업체들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6)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2760
|
LowKey | 2024.01.11 | 3 | 2760 |
공지사항 |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5533
|
LowKey | 2022.05.31 | 8 | 5533 |
공지사항 |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5323
|
LowKey | 2021.10.19 | 3 | 5323 |
공지사항 |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5817
|
LowKey | 2021.08.09 | 5 | 5817 |
공지사항 |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138
|
LowKey | 2021.07.17 | 5 | 5138 |
830 |
New 트럼프 관세 정책, 스마트폰·노트북 가격 상승 불러올까?
LowKey
|
2025.02.04
|
추천 0
|
조회 18
|
LowKey | 2025.02.04 | 0 | 18 |
829 |
New 미국 철강 가격 급등,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매제 될까?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31
|
LowKey | 2025.02.03 | 0 | 31 |
828 |
New 팔란티어, 4분기 실적 대폭 상회… 주가 시간외 18% 급등 (2)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54
|
LowKey | 2025.02.03 | 0 | 54 |
827 |
New 미국-멕시코 잠시 유예: 트럼프-셰인바움 협상의 의미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28
|
LowKey | 2025.02.03 | 0 | 28 |
826 |
New 옵션 예상 프리미엄 값 구하기.. (2)
UP&다운
|
2025.02.03
|
추천 1
|
조회 33
|
UP&다운 | 2025.02.03 | 1 | 33 |
825 |
백악관, 멕시코·캐나다·중국에 이번주 토요일부터 고율 관세 부과 발표
LowKey
|
2025.01.31
|
추천 0
|
조회 24
|
LowKey | 2025.01.31 | 0 | 24 |
824 |
테슬라 4분기 실적 분석: 저가 모델, FSD, 그리고 Optimus 로봇의 미래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66
|
LowKey | 2025.01.30 | 0 | 66 |
823 |
2024년 4분기 미국 경제 성장: 기대 이하지만 소비는 탄탄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56
|
LowKey | 2025.01.30 | 0 | 56 |
822 |
DeepSeek의 등장, 엔비디아에 오히려 호재일수도?
LowKey
|
2025.01.29
|
추천 1
|
조회 115
|
LowKey | 2025.01.29 | 1 | 115 |
821 |
AMD 주식, 목표주가 하향 조정: 성장 둔화 우려와 경쟁 심화가 원인
LowKey
|
2025.01.28
|
추천 0
|
조회 112
|
LowKey | 2025.01.28 | 0 | 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