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ook Option

자유게시판

트럼프 대통령, 5,000억 달러 규모 AI 인프라 프로젝트 발표… 머스크와의 긴장 고조

작성자
LowKey
작성일
2025-01-22 13:20
조회
138

트럼프 대통령은 화요일 백악관에서 주요 기술 기업 임원들과 함께 5,000억 달러(한화 약 625조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프로젝트를 “엄청난(tremendous)” 그리고 “획기적인(monumental)” 계획이라고 칭하며 국가 경제와 기술 혁신을 이끌 대규모 프로젝트로 소개했습니다.

그러나 발표 몇 시간 후,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에서 이 프로젝트의 현실성을 공개적으로 의문시하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머스크: “그들은 자금을 마련하지 못했다”

머스크는 화요일 늦은 밤부터 수요일 새벽까지 X에 여러 글을 올리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한 두 회사가 약속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오후 11시 35분(동부 시간)에는 OpenAI(챗GPT 개발사)의 게시물에 답글로 “그들은 실제로 돈이 없다”고 적었고, 다음날 오전 12시 57분에는 “소프트뱅크(SoftBank)는 100억 달러도 확보하지 못했다. 확실한 정보다”라고 말하며 소프트뱅크의 재정 상태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백악관과 프로젝트에 참여한 회사들은 머스크의 발언에 대해 별다른 논평을 내놓지 않았으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머스크와 앨트먼의 불편한 관계

머스크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비판은 단순히 자금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테슬라 CEO인 머스크와 OpenAI CEO인 샘 앨트먼(Sam Altman) 사이의 오랜 갈등이 다시 불거지는 계기가 됐습니다.

과거 두 사람은 OpenAI를 공동 설립했지만, 이후 머스크는 OpenAI가 비영리에서 영리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법적으로 저지하려 했으며, 이를 “시장을 마비시키는 괴물(market-paralyzing gorgon)”이라고 부르며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이후 머스크는 OpenAI를 떠나 경쟁 AI 회사 xAI를 설립하며 앨트먼과의 갈등이 지속되었습니다.

샘 앨트먼은 머스크의 소셜 미디어 비판에 대해 “당신은 시대를 이끄는 가장 영감을 주는 기업가 중 한 명”이라고 답하며 존경을 표했지만, 이후 머스크의 소프트뱅크 자금 관련 발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습니다. 앨트먼은 첫 번째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국가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 반드시 머스크의 사업에 유리한 선택은 아닐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프로젝트 자금 논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한 주요 기업인 OpenAI, 소프트뱅크, 오라클(Oracle)은 각자의 자금 조달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 소프트뱅크는 약 300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추가적인 외부 부채 조달을 계획 중입니다.
  • 오라클은 약 110억 달러의 현금과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부채가 더 많습니다.
  • OpenAI는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했지만, 여전히 수익보다 비용이 더 많은 상황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또한 스타게이트의 “기술 파트너”로 참여했으며, CEO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나는 내가 약속한 800억 달러를 준비했다”고 CNBC에 밝혔습니다.


머스크의 새로운 역할과 정치적 긴장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신설된 정부효율성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의 수장을 맡았습니다. DOGE는 정부 지출을 최대 2조 달러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머스크는 이를 “최상의 경우(best-case outcome)”로 묘사했습니다.

하지만 머스크는 트럼프의 주요 결정들에 대해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의견을 내며 불편한 관계를 드러낸 바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스크는 재무장관 후보로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을 지지하며 트럼프의 최종 선택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미래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전망

5,000억 달러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AI와 인프라 구축의 미래를 재정의할 중요한 계획으로 보이지만, 초기부터 자금 조달과 관련한 논란과 기업 간 갈등으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 그리고 참여 기업들의 재정 상황이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전체 1

  • 2025-01-23 07:26

    감사합니다.


전체 838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6)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2762
LowKey 2024.01.11 3 2762
공지사항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5538
LowKey 2022.05.31 8 5538
공지사항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5334
LowKey 2021.10.19 3 5334
공지사항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5823
LowKey 2021.08.09 5 5823
공지사항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141
LowKey 2021.07.17 5 5141
830
New 트럼프 관세 정책, 스마트폰·노트북 가격 상승 불러올까?
LowKey | 2025.02.04 | 추천 0 | 조회 22
LowKey 2025.02.04 0 22
829
New 미국 철강 가격 급등,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매제 될까?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31
LowKey 2025.02.03 0 31
828
New 팔란티어, 4분기 실적 대폭 상회… 주가 시간외 18% 급등 (2)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54
LowKey 2025.02.03 0 54
827
New 미국-멕시코 잠시 유예: 트럼프-셰인바움 협상의 의미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29
LowKey 2025.02.03 0 29
826
New 옵션 예상 프리미엄 값 구하기.. (2)
UP&다운 | 2025.02.03 | 추천 1 | 조회 34
UP&다운 2025.02.03 1 34
825
백악관, 멕시코·캐나다·중국에 이번주 토요일부터 고율 관세 부과 발표
LowKey | 2025.01.31 | 추천 0 | 조회 25
LowKey 2025.01.31 0 25
824
테슬라 4분기 실적 분석: 저가 모델, FSD, 그리고 Optimus 로봇의 미래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66
LowKey 2025.01.30 0 66
823
2024년 4분기 미국 경제 성장: 기대 이하지만 소비는 탄탄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57
LowKey 2025.01.30 0 57
822
DeepSeek의 등장, 엔비디아에 오히려 호재일수도?
LowKey | 2025.01.29 | 추천 1 | 조회 115
LowKey 2025.01.29 1 115
821
AMD 주식, 목표주가 하향 조정: 성장 둔화 우려와 경쟁 심화가 원인
LowKey | 2025.01.28 | 추천 0 | 조회 116
LowKey 2025.01.28 0 116

자유게시판

트럼프 대통령, 5,000억 달러 규모 AI 인프라 프로젝트 발표… 머스크와의 긴장 고조

작성자
LowKey
작성일
2025-01-22 13:20
조회
138

트럼프 대통령은 화요일 백악관에서 주요 기술 기업 임원들과 함께 5,000억 달러(한화 약 625조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프로젝트를 “엄청난(tremendous)” 그리고 “획기적인(monumental)” 계획이라고 칭하며 국가 경제와 기술 혁신을 이끌 대규모 프로젝트로 소개했습니다.

그러나 발표 몇 시간 후,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에서 이 프로젝트의 현실성을 공개적으로 의문시하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머스크: “그들은 자금을 마련하지 못했다”

머스크는 화요일 늦은 밤부터 수요일 새벽까지 X에 여러 글을 올리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한 두 회사가 약속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오후 11시 35분(동부 시간)에는 OpenAI(챗GPT 개발사)의 게시물에 답글로 “그들은 실제로 돈이 없다”고 적었고, 다음날 오전 12시 57분에는 “소프트뱅크(SoftBank)는 100억 달러도 확보하지 못했다. 확실한 정보다”라고 말하며 소프트뱅크의 재정 상태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백악관과 프로젝트에 참여한 회사들은 머스크의 발언에 대해 별다른 논평을 내놓지 않았으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머스크와 앨트먼의 불편한 관계

머스크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비판은 단순히 자금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테슬라 CEO인 머스크와 OpenAI CEO인 샘 앨트먼(Sam Altman) 사이의 오랜 갈등이 다시 불거지는 계기가 됐습니다.

과거 두 사람은 OpenAI를 공동 설립했지만, 이후 머스크는 OpenAI가 비영리에서 영리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법적으로 저지하려 했으며, 이를 “시장을 마비시키는 괴물(market-paralyzing gorgon)”이라고 부르며 강하게 반대했습니다. 이후 머스크는 OpenAI를 떠나 경쟁 AI 회사 xAI를 설립하며 앨트먼과의 갈등이 지속되었습니다.

샘 앨트먼은 머스크의 소셜 미디어 비판에 대해 “당신은 시대를 이끄는 가장 영감을 주는 기업가 중 한 명”이라고 답하며 존경을 표했지만, 이후 머스크의 소프트뱅크 자금 관련 발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습니다. 앨트먼은 첫 번째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국가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 반드시 머스크의 사업에 유리한 선택은 아닐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프로젝트 자금 논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한 주요 기업인 OpenAI, 소프트뱅크, 오라클(Oracle)은 각자의 자금 조달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 소프트뱅크는 약 300억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지만 추가적인 외부 부채 조달을 계획 중입니다.
  • 오라클은 약 110억 달러의 현금과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부채가 더 많습니다.
  • OpenAI는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했지만, 여전히 수익보다 비용이 더 많은 상황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또한 스타게이트의 “기술 파트너”로 참여했으며, CEO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나는 내가 약속한 800억 달러를 준비했다”고 CNBC에 밝혔습니다.


머스크의 새로운 역할과 정치적 긴장

머스크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신설된 정부효율성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의 수장을 맡았습니다. DOGE는 정부 지출을 최대 2조 달러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머스크는 이를 “최상의 경우(best-case outcome)”로 묘사했습니다.

하지만 머스크는 트럼프의 주요 결정들에 대해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의견을 내며 불편한 관계를 드러낸 바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스크는 재무장관 후보로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을 지지하며 트럼프의 최종 선택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미래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전망

5,000억 달러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AI와 인프라 구축의 미래를 재정의할 중요한 계획으로 보이지만, 초기부터 자금 조달과 관련한 논란과 기업 간 갈등으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 그리고 참여 기업들의 재정 상황이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전체 1

  • 2025-01-23 07:26

    감사합니다.


전체 838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6)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2762
LowKey 2024.01.11 3 2762
공지사항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5538
LowKey 2022.05.31 8 5538
공지사항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5334
LowKey 2021.10.19 3 5334
공지사항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5823
LowKey 2021.08.09 5 5823
공지사항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141
LowKey 2021.07.17 5 5141
830
New 트럼프 관세 정책, 스마트폰·노트북 가격 상승 불러올까?
LowKey | 2025.02.04 | 추천 0 | 조회 22
LowKey 2025.02.04 0 22
829
New 미국 철강 가격 급등, 트럼프 관세 정책이 촉매제 될까?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31
LowKey 2025.02.03 0 31
828
New 팔란티어, 4분기 실적 대폭 상회… 주가 시간외 18% 급등 (2)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54
LowKey 2025.02.03 0 54
827
New 미국-멕시코 잠시 유예: 트럼프-셰인바움 협상의 의미
LowKey | 2025.02.03 | 추천 0 | 조회 29
LowKey 2025.02.03 0 29
826
New 옵션 예상 프리미엄 값 구하기.. (2)
UP&다운 | 2025.02.03 | 추천 1 | 조회 34
UP&다운 2025.02.03 1 34
825
백악관, 멕시코·캐나다·중국에 이번주 토요일부터 고율 관세 부과 발표
LowKey | 2025.01.31 | 추천 0 | 조회 25
LowKey 2025.01.31 0 25
824
테슬라 4분기 실적 분석: 저가 모델, FSD, 그리고 Optimus 로봇의 미래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66
LowKey 2025.01.30 0 66
823
2024년 4분기 미국 경제 성장: 기대 이하지만 소비는 탄탄
LowKey | 2025.01.30 | 추천 0 | 조회 57
LowKey 2025.01.30 0 57
822
DeepSeek의 등장, 엔비디아에 오히려 호재일수도?
LowKey | 2025.01.29 | 추천 1 | 조회 115
LowKey 2025.01.29 1 115
821
AMD 주식, 목표주가 하향 조정: 성장 둔화 우려와 경쟁 심화가 원인
LowKey | 2025.01.28 | 추천 0 | 조회 116
LowKey 2025.01.28 0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