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트럼프,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선언… 글로벌 무역전쟁 다시 불붙나?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전쟁의 다음 단계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수요일 아침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서 **”오늘이 중요한 날이다. 상호 관세!”**라고 선언하며,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모든 국가에 똑같이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내용으로, 기존의 관세 정책을 한층 더 강화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란?
트럼프 대통령의 논리는 간단하다:
👉 “그들이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똑같이 부과한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리빗(Karoline Leavitt)은 **”우리가 어릴 때 배운 황금률(Golden Rule), 즉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하라’는 원칙을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미국에 수입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은 동일한 세율의 보복 관세를 맞이할 것이라는 의미다.
💥 상호 관세, 어떤 나라들이 타격을 받을까?
현재 미국과 무역을 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은 자국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산 제품에 일정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 중국
- 이미 미국과 상호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음
- 기존 10% 중국산 제품 관세 + 추가 25% 관세 부과됨
✅ 유럽연합(EU)
- 미국산 제품에 평균 5~10% 수준의 관세를 부과
- 미국이 상호 관세를 적용하면 EU도 추가 보복 조치를 고려할 가능성
✅ 인도 , 브라질
, 터키
- 높은 수입 관세를 유지하는 신흥 시장
- 이번 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큼
✅ 캐나다 , 멕시코
, 한국
- 기존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상호 관세에서 제외될 가능성 있음
- 다만, 국가 단위가 아닌 개별 품목 기준으로 적용되면 영향 받을 수도 있음
🔨 기존 관세 정책과의 차이점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몇 주 동안 강력한 보호무역 조치를 연이어 발표했다.
🔹 이번 주 월요일:
-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
- 중국산 수입품 전반에 10% 추가 관세
- 캐나다, 멕시코 제품에 25% 관세 예정(1개월 연기 중)
🔹 이번 ‘상호 관세’ 조치:
- 국가 단위로 관세를 책정할 가능성 (FTA 체결국은 제외될 수도 있음)
- 보복 관세 성격이 강해, 기존 관세보다 더 직접적인 대응책
📈 경제 및 주식 시장 영향은?
🔹 경제 전문가들의 전망
📌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 얀 하치우스(Jan Hatzius)
“이 정책은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을 일시적으로 낮출 수도 있다. 오히려 일부 국가들은 미국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관세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
📌 캐피털 이코노믹스(Capital Economics) – 실란 샤(Shilan Shah)
“만약 이 정책이 국가 단위가 아니라 품목별로 적용된다면, 전체적인 관세 부담 증가폭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작아질 수 있다.”
📌 코베이시 레터(Kobeissi Letter)
“현재 흐름이 1970년대와 비슷하다. 인플레이션과 무역전쟁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시장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
🔹 주식 시장 반응
흥미롭게도, S&P 500 지수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수요일 장을 사상 최고가 대비 단 1% 낮은 수준에서 마감했다.
👉 즉, 현재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크게 동요하지 않고 있다.
왜?
- 이미 트럼프의 보호무역 기조는 예상된 흐름이었기 때문
- 상호 관세가 즉각적인 경제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
- 일부 국가들이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기 때문
📌 결론: 무역전쟁 2.0이 시작될까?
🔹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면, 우리도 부과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며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 특히 중국, 인도, 브라질, 터키 등의 신흥국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 다만, 캐나다, 멕시코, 한국과 같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들은 관세 부과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주식 시장은 예상보다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국가들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관세를 인하할 수도 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7)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3369
|
LowKey | 2024.01.11 | 3 | 3369 |
공지사항 |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6174
|
LowKey | 2022.05.31 | 8 | 6174 |
공지사항 |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6002
|
LowKey | 2021.10.19 | 3 | 6002 |
공지사항 |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6419
|
LowKey | 2021.08.09 | 5 | 6419 |
공지사항 |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608
|
LowKey | 2021.07.17 | 5 | 5608 |
848 |
미국 증시 급락, 경기 침체 우려 고조…다우 900포인트 폭락, 나스닥 연중 최대 하락
LowKey
|
2025.03.10
|
추천 0
|
조회 46
|
LowKey | 2025.03.10 | 0 | 46 |
847 |
가입인사 (1)
JP
|
2025.03.08
|
추천 0
|
조회 26
|
JP | 2025.03.08 | 0 | 26 |
846 |
트럼프의 관세 연기와 기업 실적, 흔들리는 증시의 하루 정리 (1)
LowKey
|
2025.03.05
|
추천 0
|
조회 50
|
LowKey | 2025.03.05 | 0 | 50 |
845 |
월가 이슈: 제조업 지표 부진·새 관세 부과, 그리고 주요 종목 동향 (1)
LowKey
|
2025.03.03
|
추천 0
|
조회 77
|
LowKey | 2025.03.03 | 0 | 77 |
844 |
테슬라 미래 (2)
참나무
|
2025.02.27
|
추천 0
|
조회 61
|
참나무 | 2025.02.27 | 0 | 61 |
843 |
미국 홈인테리어 시장, 바닥을 찍고 반등할까?
LowKey
|
2025.02.26
|
추천 1
|
조회 71
|
LowKey | 2025.02.26 | 1 | 71 |
842 |
미국 경제, 둔화 조짐? 2월 PMI 지표 급변
LowKey
|
2025.02.21
|
추천 0
|
조회 60
|
LowKey | 2025.02.21 | 0 | 60 |
841 |
엔비디아(Nvidia) 실적 발표 앞둔 지금.. 매수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20
|
추천 0
|
조회 146
|
LowKey | 2025.02.20 | 0 | 146 |
840 |
팔란티어(Palantir) 주가 폭등! 지금이 매도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43
|
LowKey | 2025.02.19 | 0 | 143 |
839 |
2월 18일(화) 모닝 마켓 브리핑 – 증시 혼조세 속 개별 종목 주목
LowKey
|
2025.02.18
|
추천 1
|
조회 118
|
LowKey | 2025.02.18 | 1 | 118 |
자유게시판
트럼프,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선언… 글로벌 무역전쟁 다시 불붙나?
트럼프 대통령이 글로벌 무역전쟁의 다음 단계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수요일 아침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서 **”오늘이 중요한 날이다. 상호 관세!”**라고 선언하며,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모든 국가에 똑같이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정책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강조했던 내용으로, 기존의 관세 정책을 한층 더 강화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란?
트럼프 대통령의 논리는 간단하다:
👉 “그들이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그들에게 똑같이 부과한다!”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리빗(Karoline Leavitt)은 **”우리가 어릴 때 배운 황금률(Golden Rule), 즉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하라’는 원칙을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미국에 수입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은 동일한 세율의 보복 관세를 맞이할 것이라는 의미다.
💥 상호 관세, 어떤 나라들이 타격을 받을까?
현재 미국과 무역을 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은 자국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산 제품에 일정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 중국
- 이미 미국과 상호 보복 관세를 주고받으며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음
- 기존 10% 중국산 제품 관세 + 추가 25% 관세 부과됨
✅ 유럽연합(EU)
- 미국산 제품에 평균 5~10% 수준의 관세를 부과
- 미국이 상호 관세를 적용하면 EU도 추가 보복 조치를 고려할 가능성
✅ 인도 , 브라질
, 터키
- 높은 수입 관세를 유지하는 신흥 시장
- 이번 정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큼
✅ 캐나다 , 멕시코
, 한국
- 기존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상호 관세에서 제외될 가능성 있음
- 다만, 국가 단위가 아닌 개별 품목 기준으로 적용되면 영향 받을 수도 있음
🔨 기존 관세 정책과의 차이점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몇 주 동안 강력한 보호무역 조치를 연이어 발표했다.
🔹 이번 주 월요일:
-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
- 중국산 수입품 전반에 10% 추가 관세
- 캐나다, 멕시코 제품에 25% 관세 예정(1개월 연기 중)
🔹 이번 ‘상호 관세’ 조치:
- 국가 단위로 관세를 책정할 가능성 (FTA 체결국은 제외될 수도 있음)
- 보복 관세 성격이 강해, 기존 관세보다 더 직접적인 대응책
📈 경제 및 주식 시장 영향은?
🔹 경제 전문가들의 전망
📌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 얀 하치우스(Jan Hatzius)
“이 정책은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을 일시적으로 낮출 수도 있다. 오히려 일부 국가들은 미국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관세를 줄일 가능성이 있다.”
📌 캐피털 이코노믹스(Capital Economics) – 실란 샤(Shilan Shah)
“만약 이 정책이 국가 단위가 아니라 품목별로 적용된다면, 전체적인 관세 부담 증가폭은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작아질 수 있다.”
📌 코베이시 레터(Kobeissi Letter)
“현재 흐름이 1970년대와 비슷하다. 인플레이션과 무역전쟁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시장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
🔹 주식 시장 반응
흥미롭게도, S&P 500 지수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에도 불구하고 수요일 장을 사상 최고가 대비 단 1% 낮은 수준에서 마감했다.
👉 즉, 현재 시장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크게 동요하지 않고 있다.
왜?
- 이미 트럼프의 보호무역 기조는 예상된 흐름이었기 때문
- 상호 관세가 즉각적인 경제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
- 일부 국가들이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기 때문
📌 결론: 무역전쟁 2.0이 시작될까?
🔹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면, 우리도 부과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며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 특히 중국, 인도, 브라질, 터키 등의 신흥국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 다만, 캐나다, 멕시코, 한국과 같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들은 관세 부과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주식 시장은 예상보다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일부 국가들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을 피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관세를 인하할 수도 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7)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3369
|
LowKey | 2024.01.11 | 3 | 3369 |
공지사항 |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6174
|
LowKey | 2022.05.31 | 8 | 6174 |
공지사항 |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6002
|
LowKey | 2021.10.19 | 3 | 6002 |
공지사항 |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6419
|
LowKey | 2021.08.09 | 5 | 6419 |
공지사항 |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608
|
LowKey | 2021.07.17 | 5 | 5608 |
848 |
미국 증시 급락, 경기 침체 우려 고조…다우 900포인트 폭락, 나스닥 연중 최대 하락
LowKey
|
2025.03.10
|
추천 0
|
조회 46
|
LowKey | 2025.03.10 | 0 | 46 |
847 |
가입인사 (1)
JP
|
2025.03.08
|
추천 0
|
조회 26
|
JP | 2025.03.08 | 0 | 26 |
846 |
트럼프의 관세 연기와 기업 실적, 흔들리는 증시의 하루 정리 (1)
LowKey
|
2025.03.05
|
추천 0
|
조회 50
|
LowKey | 2025.03.05 | 0 | 50 |
845 |
월가 이슈: 제조업 지표 부진·새 관세 부과, 그리고 주요 종목 동향 (1)
LowKey
|
2025.03.03
|
추천 0
|
조회 77
|
LowKey | 2025.03.03 | 0 | 77 |
844 |
테슬라 미래 (2)
참나무
|
2025.02.27
|
추천 0
|
조회 61
|
참나무 | 2025.02.27 | 0 | 61 |
843 |
미국 홈인테리어 시장, 바닥을 찍고 반등할까?
LowKey
|
2025.02.26
|
추천 1
|
조회 71
|
LowKey | 2025.02.26 | 1 | 71 |
842 |
미국 경제, 둔화 조짐? 2월 PMI 지표 급변
LowKey
|
2025.02.21
|
추천 0
|
조회 60
|
LowKey | 2025.02.21 | 0 | 60 |
841 |
엔비디아(Nvidia) 실적 발표 앞둔 지금.. 매수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20
|
추천 0
|
조회 146
|
LowKey | 2025.02.20 | 0 | 146 |
840 |
팔란티어(Palantir) 주가 폭등! 지금이 매도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43
|
LowKey | 2025.02.19 | 0 | 143 |
839 |
2월 18일(화) 모닝 마켓 브리핑 – 증시 혼조세 속 개별 종목 주목
LowKey
|
2025.02.18
|
추천 1
|
조회 118
|
LowKey | 2025.02.18 | 1 | 1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