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ook Option

자유게시판

AI의 판도를 바꿀 중국의 초저비용 새로운 언어모델, 딥시크 R1의 등장

작성자
LowKey
작성일
2025-01-27 06:27
조회
221
지난주, 중국의 한 인공지능 연구소가 새로운 언어모델 딥시크(DeepSeek) R1을 공개하며 전 세계 AI 업계의 관심을 집중시켰습니다. 이 모델은 기존 시장을 주도해 온 오픈AI(OpenAI)의 최상위 모델과 견줄 만한 성능을 자랑하며, 특히 비용과 접근성 측면에서 파격적인 혁신을 제시했습니다.

딥시크 R1, 무엇이 특별한가?
딥시크 R1은 OpenAI의 ChatGPT 최상위 모델인 o1과 같은 추론 기반(reasoning) AI로, 복잡한 문제에 대해 스스로 대화를 통해 논리를 전개합니다. 예를 들어, “마이클 조던과 르브론 제임스 중 전성기에 누가 더 나은 선수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딥시크 R1은 900단어 이상의 독창적인 논의를 전개한 뒤, “두 선수 모두 각자의 시대에서 ‘전성기’를 재정의했다”는 균형 잡힌 결론을 제시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같은 질문을 OpenAI의 o1 모델에 물었을 때, 비슷한 방식으로 논리를 전개하며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파격적인 비용과 접근성
딥시크 R1이 진정 놀라운 점은 바로 초저비용 구조에 있습니다. 딥시크 R1의 기반 모델인 V3는 2,048개의 AI 가속기로 단 2개월 만에 개발되었으며, 총 비용이 불과 **560만 달러(약 71억 원)**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경쟁 모델로 알려진 Meta의 Llama 3.1(14배 더 높은 비용)보다 훨씬 경제적입니다.

뿐만 아니라, 개발자들이 앱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R1 API는 OpenAI의 o1 API 대비 27배 저렴하며,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웹 인터페이스는 무료입니다. 참고로, ChatGPT o1 모델의 연간 이용료는 240~2,400달러 수준입니다.

오픈소스화로 공개된 딥시크
딥시크 R1은 MIT 라이선스 하에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습니다. 오픈AI가 최근 들어 공개형 모델을 내놓지 않았던 것과 대조적으로, 딥시크는 개발 과정과 방법론을 담은 두 개의 백서를 함께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개발자들은 딥시크 R1과 V3 모델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슷한 모델을 개발할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AI 시장과 투자에 미칠 영향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관련 기술과 투자 시장은 중대한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AI 비용의 혁명적 절감
현재까지 AI 모델의 학습과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의 성공 사례는 고성능 모델 개발과 운영 비용이 수백만 달러 수준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I 컴퓨팅 시장의 과잉 공급 가능성
지금까지 AI 컴퓨팅 부족으로 인해 엔비디아(Nvidia) 같은 반도체 기업들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은 막대한 투자를 이어왔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 2년간 데이터센터 하드웨어로 1,310억 달러를 판매했으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는 3,430억 달러 이상의 자본을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의 성공이 확산된다면, AI 관련 하드웨어 수요가 급감하고 시장 과잉 공급 상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산 AI 모델에 대한 정치적 논란
딥시크 R1은 중국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미국 내 정치적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큽니다. 틱톡(TikTok) 사례처럼, 딥시크도 보안과 검열 이슈로 인해 미국 규제 당국의 주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

AI 투자 열풍의 끝, 혹은 새로운 시작?
딥시크의 성공이 사실로 입증되고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재현된다면, 지난 2년간 AI 업계를 지배해 온 비용 구조와 투자 전략은 근본적으로 뒤바뀔 것입니다. 이로 인해 AI 기술에 대한 투자 열풍은 빠르게 식을 수도 있으며, 심지어 AI 주도 강세장(불마켓)의 종말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국, 딥시크 R1의 등장은 단순한 신기술 발표를 넘어, 전 세계 AI 업계와 투자 시장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사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0

전체 85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7)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3369
LowKey 2024.01.11 3 3369
공지사항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6174
LowKey 2022.05.31 8 6174
공지사항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6003
LowKey 2021.10.19 3 6003
공지사항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6419
LowKey 2021.08.09 5 6419
공지사항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608
LowKey 2021.07.17 5 5608
848
미국 증시 급락, 경기 침체 우려 고조…다우 900포인트 폭락, 나스닥 연중 최대 하락
LowKey | 2025.03.10 | 추천 0 | 조회 46
LowKey 2025.03.10 0 46
847
가입인사 (1)
JP | 2025.03.08 | 추천 0 | 조회 26
JP 2025.03.08 0 26
846
트럼프의 관세 연기와 기업 실적, 흔들리는 증시의 하루 정리 (1)
LowKey | 2025.03.05 | 추천 0 | 조회 50
LowKey 2025.03.05 0 50
845
월가 이슈: 제조업 지표 부진·새 관세 부과, 그리고 주요 종목 동향 (1)
LowKey | 2025.03.03 | 추천 0 | 조회 77
LowKey 2025.03.03 0 77
844
테슬라 미래 (2)
참나무 | 2025.02.27 | 추천 0 | 조회 61
참나무 2025.02.27 0 61
843
미국 홈인테리어 시장, 바닥을 찍고 반등할까?
LowKey | 2025.02.26 | 추천 1 | 조회 71
LowKey 2025.02.26 1 71
842
미국 경제, 둔화 조짐? 2월 PMI 지표 급변
LowKey | 2025.02.21 | 추천 0 | 조회 60
LowKey 2025.02.21 0 60
841
엔비디아(Nvidia) 실적 발표 앞둔 지금.. 매수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20 | 추천 0 | 조회 147
LowKey 2025.02.20 0 147
840
팔란티어(Palantir) 주가 폭등! 지금이 매도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43
LowKey 2025.02.19 0 143
839
2월 18일(화) 모닝 마켓 브리핑 – 증시 혼조세 속 개별 종목 주목
LowKey | 2025.02.18 | 추천 1 | 조회 118
LowKey 2025.02.18 1 118

자유게시판

AI의 판도를 바꿀 중국의 초저비용 새로운 언어모델, 딥시크 R1의 등장

작성자
LowKey
작성일
2025-01-27 06:27
조회
221
지난주, 중국의 한 인공지능 연구소가 새로운 언어모델 딥시크(DeepSeek) R1을 공개하며 전 세계 AI 업계의 관심을 집중시켰습니다. 이 모델은 기존 시장을 주도해 온 오픈AI(OpenAI)의 최상위 모델과 견줄 만한 성능을 자랑하며, 특히 비용과 접근성 측면에서 파격적인 혁신을 제시했습니다.

딥시크 R1, 무엇이 특별한가?
딥시크 R1은 OpenAI의 ChatGPT 최상위 모델인 o1과 같은 추론 기반(reasoning) AI로, 복잡한 문제에 대해 스스로 대화를 통해 논리를 전개합니다. 예를 들어, “마이클 조던과 르브론 제임스 중 전성기에 누가 더 나은 선수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딥시크 R1은 900단어 이상의 독창적인 논의를 전개한 뒤, “두 선수 모두 각자의 시대에서 ‘전성기’를 재정의했다”는 균형 잡힌 결론을 제시했습니다.

흥미롭게도 같은 질문을 OpenAI의 o1 모델에 물었을 때, 비슷한 방식으로 논리를 전개하며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파격적인 비용과 접근성
딥시크 R1이 진정 놀라운 점은 바로 초저비용 구조에 있습니다. 딥시크 R1의 기반 모델인 V3는 2,048개의 AI 가속기로 단 2개월 만에 개발되었으며, 총 비용이 불과 **560만 달러(약 71억 원)**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경쟁 모델로 알려진 Meta의 Llama 3.1(14배 더 높은 비용)보다 훨씬 경제적입니다.

뿐만 아니라, 개발자들이 앱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R1 API는 OpenAI의 o1 API 대비 27배 저렴하며, 일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웹 인터페이스는 무료입니다. 참고로, ChatGPT o1 모델의 연간 이용료는 240~2,400달러 수준입니다.

오픈소스화로 공개된 딥시크
딥시크 R1은 MIT 라이선스 하에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습니다. 오픈AI가 최근 들어 공개형 모델을 내놓지 않았던 것과 대조적으로, 딥시크는 개발 과정과 방법론을 담은 두 개의 백서를 함께 발표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개발자들은 딥시크 R1과 V3 모델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슷한 모델을 개발할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AI 시장과 투자에 미칠 영향
딥시크의 등장으로 AI 관련 기술과 투자 시장은 중대한 변화를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AI 비용의 혁명적 절감
현재까지 AI 모델의 학습과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의 성공 사례는 고성능 모델 개발과 운영 비용이 수백만 달러 수준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I 컴퓨팅 시장의 과잉 공급 가능성
지금까지 AI 컴퓨팅 부족으로 인해 엔비디아(Nvidia) 같은 반도체 기업들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은 막대한 투자를 이어왔습니다. 엔비디아는 지난 2년간 데이터센터 하드웨어로 1,310억 달러를 판매했으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는 3,430억 달러 이상의 자본을 투자했습니다. 하지만 딥시크의 성공이 확산된다면, AI 관련 하드웨어 수요가 급감하고 시장 과잉 공급 상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산 AI 모델에 대한 정치적 논란
딥시크 R1은 중국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미국 내 정치적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큽니다. 틱톡(TikTok) 사례처럼, 딥시크도 보안과 검열 이슈로 인해 미국 규제 당국의 주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

AI 투자 열풍의 끝, 혹은 새로운 시작?
딥시크의 성공이 사실로 입증되고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재현된다면, 지난 2년간 AI 업계를 지배해 온 비용 구조와 투자 전략은 근본적으로 뒤바뀔 것입니다. 이로 인해 AI 기술에 대한 투자 열풍은 빠르게 식을 수도 있으며, 심지어 AI 주도 강세장(불마켓)의 종말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결국, 딥시크 R1의 등장은 단순한 신기술 발표를 넘어, 전 세계 AI 업계와 투자 시장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사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0

전체 85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미국옵션 GPT (미옵 GPT) 를 런칭합니다! (7)
LowKey | 2024.01.11 | 추천 3 | 조회 3369
LowKey 2024.01.11 3 3369
공지사항
[공지] 미옵 ETF 옵션 데일리 요약/분석 관련 (25)
LowKey | 2022.05.31 | 추천 8 | 조회 6174
LowKey 2022.05.31 8 6174
공지사항
[공지] 개인블로그 및 기타 광고 관련 미국옵션 공유 방침
LowKey | 2021.10.19 | 추천 3 | 조회 6003
LowKey 2021.10.19 3 6003
공지사항
[공지] 채팅창에서 다른분들과 같이 의견을 교류할때의 템플릿 (10)
LowKey | 2021.08.09 | 추천 5 | 조회 6419
LowKey 2021.08.09 5 6419
공지사항
[인사말] 미국옵션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5)
LowKey | 2021.07.17 | 추천 5 | 조회 5608
LowKey 2021.07.17 5 5608
848
미국 증시 급락, 경기 침체 우려 고조…다우 900포인트 폭락, 나스닥 연중 최대 하락
LowKey | 2025.03.10 | 추천 0 | 조회 46
LowKey 2025.03.10 0 46
847
가입인사 (1)
JP | 2025.03.08 | 추천 0 | 조회 26
JP 2025.03.08 0 26
846
트럼프의 관세 연기와 기업 실적, 흔들리는 증시의 하루 정리 (1)
LowKey | 2025.03.05 | 추천 0 | 조회 50
LowKey 2025.03.05 0 50
845
월가 이슈: 제조업 지표 부진·새 관세 부과, 그리고 주요 종목 동향 (1)
LowKey | 2025.03.03 | 추천 0 | 조회 77
LowKey 2025.03.03 0 77
844
테슬라 미래 (2)
참나무 | 2025.02.27 | 추천 0 | 조회 61
참나무 2025.02.27 0 61
843
미국 홈인테리어 시장, 바닥을 찍고 반등할까?
LowKey | 2025.02.26 | 추천 1 | 조회 71
LowKey 2025.02.26 1 71
842
미국 경제, 둔화 조짐? 2월 PMI 지표 급변
LowKey | 2025.02.21 | 추천 0 | 조회 60
LowKey 2025.02.21 0 60
841
엔비디아(Nvidia) 실적 발표 앞둔 지금.. 매수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20 | 추천 0 | 조회 147
LowKey 2025.02.20 0 147
840
팔란티어(Palantir) 주가 폭등! 지금이 매도 타이밍일까?
LowKey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43
LowKey 2025.02.19 0 143
839
2월 18일(화) 모닝 마켓 브리핑 – 증시 혼조세 속 개별 종목 주목
LowKey | 2025.02.18 | 추천 1 | 조회 118
LowKey 2025.02.18 1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