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ook Option

무위험투자의 양면성

무위험투자의 양면성

무위험투자의 양면성

무위험 투자를 한다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수익은 마이너스가 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건강한 투자는 적절한 리스크를 지는 분산된 자산군으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이지 무위험투자가 아닙니다.

“내 자산의 가치가 하락할 수 있는 용납못한다. 난 오로지 리스크 없는 투자만 하고싶다.”  제가 투자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 자주 듣는 말입니다. 저역시도 지금까지 많은 생각을 해봤습니다. 과연 리스크가 없는 투자가 가능할까.. 그래서 리스크가 높은것부터 낮은순서대로 자산군을 아주 간단히 생각나는대로 간단히 한번 나열해봤습니다.

파생상품  >  주식  >  채권  > 현금

물론 조금더  들여다보면 위험도의 크기는 이런식으로 구분이 되겠네요.

  • 파생상품중 개별상품을 기초자산 > 인덱스를 기초자산
  • 주식은 성장주 > 가치주, 혹은 스몰캡 > 미들캡 > 라지캡
  • 채권은 회사채 >국채

간단히 생각해보니 무위험 자산군은 미국채 Treasury Bond (T-Bond) 가 유일하네요. 그럼 현재를 기준으로 미국채 10년물의 Constant Maturity Rate을 살펴볼까요?

2020년 12월 22일 기준으로 시장참여자가 리스크가 없는 투자를 했을때 얻을수있는 적정수익률이 0.93% 정도가 되겠네요. 이정도의 수익률이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투자할 가치가 없다고 여기실꺼라 생각합니다. 흠.. 제가 한가지 덧붙이자면 여기에서 현재 물가상승률을 빼볼까요? 자 내가 무위험 자산군에 현금을 투입해서 약 0.93%의 수익을 얻었다고 합시다. 그리고 그사이에 물가가 평균1.9% (미국의 현재 물가상승률) 정도 상승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Real Risk-Free Return = 0.93% – 1.90% = -0.97%

내가 무위험 투자를 해서 얻어낸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수익은 마이너스였다는 것입니다. 물론 현재가 역대 최저 국채이자율시대이고 경제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실질 무위험수익율은 변하겠지만, 여기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 장기적으로 건강한 투자는 적절한 리스크를 지는 분산된 자산군으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이지 무위험투자가 아니다. ”

모든 자산군의 가치평가의 공식에는 무위험 수익률이 하나의 요소로 들어가 있습니다. 가장 간단한 예로 회사채의 적정가치를 평가할때 무위험 이자율을 시작으로 그회사가와 관련된 리스크 프리미엄(예를들면 그회사가 망할 확률 등등)이 더해져서 그회사 채권의 이자율이 무위험수익률보다 높게 정해지는거죠. 

그렇다면 나의 상황에서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라는 의문을 던지실겁니다. 내 포트폴리오에서 어느정도가 주식비중이 되어야 할까요? 사람들이 이런 질문을 할때 일단 저는 100에서 본인의 나이를 빼라고 합니다. 그리고 나온값을 100으로 나눠줘서 %로 바꾸고 개인적인 재정상황에 따라 +10% 아니면 -10%를 해주라고 합니다. 

그다음 남은 자산의 80%를 채권비중으로 채우고 마지막 아주 적게 남은 비중 (5%이내)을 대체투자와 파생상품등 조금더 모험적인 자산군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 만약, 포트폴리오의 주전략이 Covered Call과 같이 오히려 그냥 주식포지션보다 안전한 전략이라면 파생상품의 비중을 더 높일수도 있습니다. 주가상승으로부터의 수익뿐만 아니라 시간가치 매도로 부터 오는 수익의 기회또한 얻음으로써 수익구조의 다양성을 늘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Covered Call과 관련된 강의를 옵션초보 페이지에서 꼭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핵심포인트

  • 무위험투자가 무조건 좋은것은 아니다. 
  • 적정주식비중 = (100 – 본인나이)/100 +/- 10% 
  • Covered Call 전략은 그냥 주식에 투자하는것보다 안전한 투자방식이며 주가상승과 콜옵션매도의 시간가치로부터 오는 수익구조를 낼 수 있다. 
중수
LowKey

네이키드 콜옵션 매도.. 조심 또 조심

네이키드 콜옵션 매도 전략은 옵션전략중에 가장 위험한 전략중 하나입니다. 손실이 무한대가 될수도 있기에 정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하는 전략인만큼 brave님께서 말씀주신것처럼 최고옵션 레벨을 qualify하는 허락을 받아야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옵션의 프리미엄이 내재가치만으로 거래될때?

지난 여러 강의에서 옵션의 가치(Premium)는 크게 내재가치 (intrinsic value)와 시간가치(Extrinsic value 또는 Time Value) 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옵션트레이딩을 하시다 보면 프리미엄이 내재가치와 완전 거의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옵션의 프리미엄이 시간가치 없이 내재가치에 거래되는 상황을 “Trading at Parity”라고합니다.

시간가치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옵션이다? 옵션초보분들에게는 흥미로운 주제일것 같은데요. 과연 Trading at Parity의 상황은 언제 발생하며 또 왜 그런상황이 발생하는지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나의 옵션 거래 실수 – 풋옵션 매도

나의 옵션 거래 실수 시리즈 그 첫번째입니다.  옵션거래를 하시다 보면 옵션 매도포지션에서 엄한 실수를 범할때가 있습니다. 특히 미국 주식 옵션의 경우 American Style (미국형 옵션)의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Mikook Option단체톡 참여하는 방법

최근 단체톡 광고스팸 봇이 많은 관계로 새로운 참여자 입장시 비밀코드를 설정해 놓았습니다. 비밀코드는 아래의 세가지를 번갈아가며 사용할 예정이니 단체톡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히보기 »
미국옵션강의
LowKey

옵션투자에서 계속 큰 손실이 나고있다면?

아래의 영상에서는 만약 옵션투자에서 계속 큰 손실이 나고 있다면 한번 같이 생각해볼 문제들을 다뤄봤습니다. 저희 미국옵션(미옵)커뮤니티에 많은 도움을 주고 계신 코난님께서 풋옵션 매도, 커버드콜, 아이언콘돌,

자세히보기 »
LowKey

Mikook Option단체톡 참여하는 방법

최근 단체톡 광고스팸 봇이 많은 관계로 새로운 참여자 입장시 비밀코드를 설정해 놓았습니다. 비밀코드는 아래의 세가지를 번갈아가며 사용할 예정이니 단체톡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히보기 »
LowKey

미국주식 풋옵션 실전예제

 모든 옵션 매도전략은 큰 위험이 따릅니다. 그 중 풋옵션 매도 거래는 콜옵션 매도보다는 안전하지만 아직도 엄청난 위험부담이 있는 전략입니다. 그래서 충분한 실전예제로 모든 상황에 대응할

자세히보기 »
LowKey

콜옵션 풋옵션 동시매수!

안녕하세요 미국옵션의 로우키 입니다. 실적발표시즌에는 기초주식들이 보통때보다 많은 움직임을 보여주기 때문에 옵션투자자들은 이를 활용한 여러가지 다양한 옵션 전략들을 사용하는데요. 오늘 Reddit Action시간에서는 u/Perfect-Necessary-12 라는 분께서

자세히보기 »
LowKey

리버스 칼라 (Reverse Collar) 전략

이번시간에 다뤄볼 신기한 합성 옵션 전략은 리버스 콜라 (Reverse Collar) 전략입니다. 뭔가 이 옵션 전략의 이름만 봤을때 너무 어려운 전략인것 같죠? 하지만 어려운 용어에 비해 상당히 이해하기 쉬운 전략이니 미옵만 믿고 따라오세요. 실제로 미국 옵션시장에서 관찰된 예제를 이용해 10분안에 확실히 이해시켜드립니다.

자세히보기 »